티스토리 뷰

Mathematics

Probability Theory

dasu 2022. 7. 16. 06:05

Chapter 1, Measure Theory

  • σ\sigma-field
    • F\mathscr{F} : collection of subsets of set Ω\Omega
    • 이 때, F\mathscr{F}가 field인 것은 ΩF\Omega\in\mathscr{F}이고 F\mathscr{F}가 finite union과 complementation에 closed해 있다와 필요 충분조건이다. 이는 즉,
      1. ΩF\Omega\in\mathscr{F}
      1. AF    AcFA\in \mathscr{F}\iff A^c\in\mathscr{F}
      1. A1A_1, A2A_2, \cdots, AnFA_n\in\mathscr{F}   i=1nAiF~\Rightarrow~\displaystyle\bigcup_{i=1}^nA_i\in\mathscr{F}
        • i=1nAi=(i=1nAic)cF\displaystyle\bigcap_{i=1}^n A_i=\left(\bigcup_{i=1}^nA_i{\it}^c\right)^c\in\mathscr{F}
        • 일단, 2번에 의해 각각의 여집합이 F\mathscr{F}에 속하고, 3번에 의해 합집합들도 동일하다. 다시 2번에 의해 이의 교집합들이 F\mathscr{F}에 속함을 증명가능하다
    • 3번 조건 같은 경우 finite에 대해 정의가 되어있는데, 이를 확장하여 countable union에 대해 적용하자. (σ\sigma-algebra, σ\sigma-field 조건)

      4. A1A_1, A2A_2, \cdots, F\in\mathscr{F}  i=1AiF~\Rightarrow~\displaystyle\bigcup_{i=1}^\infty A_i\in\mathscr{F}

    • F\mathscr{F}내에 있는 countable union of sets를 AA라 하자. 즉, A=n=1An\displaystyle A=\bigcup_{n=1}^\infty A_n이다.
    • 이 때, Bi=n=1iAnB_i=\displaystyle\bigcup_{n=1}^iA_n라 하면, BiBi+1B_i\subset B_{i+1}이다. 따라서, BiAB_i\uparrow A
    • 따라서, σ\sigma-field는 limits of increasing sequence에 닫혀 있다.(XX의 increasing sequence의 limit가 X에 속하므로, A1A_1, A2A_2,\cdots, AnA_n이 increasing sequence이고 XX에 속하면 이의 극한도 동일하게 X에 속함 by 3)
  • Generated By set
    • 모든 집합 FFF\subset \mathscr{F}에 대해 P(F)\mathcal{P}\left(F\right)를 이용하여 가장 작은 σ\sigma-algebra를 정의 하는 것이 가능함. (여기서 가장 작은의 의미는 모든 σ\sigma-algebra가 공통적으로 들고 있는 것을 의미)

      ⇒ 이를 M(F)\mathcal{M}\left(F\right) 라 하고, FF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σ\sigma-algebra이다.

      ⇒ 보통 generated by FF라고 한다.

      • EM(F)  M(E)M(F)\mathcal{E}\subset\mathcal{M}\left(\mathcal{F}\right)~\Rightarrow~\mathcal{M}\left(\mathcal{E}\right)\subset\mathcal{M}\left(\mathcal{F}\right)
    • Lemma 1.1
      • Proof
        • M(E)\mathcal{M}\left(\mathcal{E}\right)E\mathcal{E}로부터 생성된 "가장 작은" σ\sigma-algebra임을 생각하자.
        • 이 때, M(F)\mathcal{M}\left(\mathcal{F}\right)도 동일하게 σ\sigma-algebra이고 E\mathcal{E}를 포함하므로, 당연히 M(E)M(F)\mathcal{M}\left(\mathcal{E}\right)\subset\mathcal{M}\left(\mathcal{F}\right) 이다. 만족하지 않으면 최소라는 조건을 모순하게 된다.
    • 모든 open set들을 포함하는 set에 의해 생성된 σ\sigma-algebra를 Borel σ\sigma-algebra라 한다.
    • {Xα}αA\left\{X_\alpha\right\}_{\alpha\in A}에 대해, X=αAXαX=\prod_{\alpha\in A}\,X_\alpha 라 하자.
    • 이 때, πα:XXα\pi_\alpha\,:\,X\rightarrow X_\alpha를 정의하자. (coordinate map)
    • Mα\mathcal{M}_\alphaXαX_\alpha 위에 생성된 σ\sigma-algebra라 칭할 때, product σ\sigma-algebra를 아래로 정의하자.

      αAMα:=M({πα1(Eα) : EαMα, αA})\bigotimes_{\alpha\in A}\mathcal{M}_{\alpha}\,:=\mathcal{M}\left(\left\{\pi_\alpha ^{-1}\left(E_\alpha\right)\ :\ E_\alpha\in\mathcal{M}_\alpha,\ \alpha\in A \right\}\right)

    • Prop 1.3
      • AA is countable \Rightarrow αAMα=M({αAEα:EαMα})\bigotimes_{\alpha\in A}\mathcal{M}_\alpha=\mathcal{M}\left(\left\{\prod_{\alpha\in A}E_\alpha\,:\,E_\alpha\in\mathcal{M}_\alpha\right\}\right)
      • Proof
        • A=B  AB  BAA=B~\Leftrightarrow~A\subseteq B~\vee~B\subseteq A
        • ()\left(\subseteq\right)
          • Lemma 1.1을 활용한다.
            • EF  M(E)M(F)\mathcal{E}\subset\mathcal{F}~\Rightarrow~\mathcal{M}\left(\mathcal{E}\right)\subset\mathcal{M}\left(\mathcal{F}\right)
            • βα\beta\neq\alpha에 대해 Eβ=XβE_\beta=X_\beta, β=α\beta=\alpha에 대해선 Eβ=EαE_\beta=E_\alpha로 하면 πα1(Eα)=βAEβ\pi_\alpha^{-1}\left(E_\alpha\right)=\prod_{\beta\in A} E_\beta가 성립
            • 이는 {αAEα:EαMα}\left\{\prod_{\alpha\in A}E_\alpha\,:\,E_\alpha\in\mathcal{M}_\alpha\right\}의 subset이므로 성립
        • ()\left(\supseteq\right)
          • x{αAEα:EαMα}x\in\left\{\prod_{\alpha\in A}E_\alpha\,:\,E_\alpha\in\mathcal{M}_\alpha\right\}라 하자.
          • 알기 쉽게 나열하면, (A1, A2, A3, ,)\left(A_1,~A_2,~A_3,~\cdots,\right)이다.
          • 이는, 첫 번째에 A1A_1이 있는 것들과 두 번째에 A2A_2가 있는 것들과, \cdots의 교집합이다.
          • 이 때 첫 번째에 A1A_1이 있는 것들의 집합은 πα1(A1)\pi_{\alpha}^{-1}\left(A_1\right), 두 번째에 A2A_2이 있는 것들의 집합은πα1(A2)\pi_{\alpha}^{-1}\left(A_2\right), \cdots로 표현이 가능하다.
          •  (A1, A2, , ,)=αAπα1(Aα){πα1(Eα):EαMα}\therefore~\left(A_1,~A_2,~\cdots,~,\right)=\cap_{\alpha\in A}\,\pi_{\alpha}^{-1}\left(A_\alpha\right)\subset \left\{\pi_{\alpha}^{-1}\left(E_\alpha\right)\,:\,E_\alpha\in\mathcal{M}_\alpha\right\}
          • 동일하게 Lemma 1.1을 활용하면 성립
    • Prop 1.4
      • Mα=M(Eα)\mathcal{M}_\alpha=\mathcal{M}\left(\mathcal{E}_\alpha\right)라 하자.
      • αAMα=M({πα1(Eα):EαEα, αA})\bigotimes_{\alpha\in A}\,\mathcal{M}_\alpha=\mathcal{M}\left(\left\{\pi_{\alpha}^{-1}\left(E_{\alpha}\right)\,:\,E_\alpha\in\bold{\mathcal{E}_\alpha},~\alpha\in A\right\}\right)
      • Proof
        • 편의를 위해 X:={πα1(Eα):EαMα, αA}X:=\left\{\pi_\alpha^{-1}\left(E_\alpha\right)\,:\,E_\alpha\in\mathcal{M}_\alpha,~\alpha\in A\right\}

          Y:={πα1(Eα):EαEα, αA}Y:=\left\{\pi_\alpha^{-1}\left(E_\alpha\right)\,:\,E_\alpha\in\mathcal{E}_\alpha,~\alpha\in A\right\}

        • M(Y)M(X)\mathcal{M}\left(Y\right)\subset \mathcal{M}\left(X\right) 임은 자명하다. (EαMα\mathcal{E}_\alpha\in\mathcal{M}_\alpha이므로 XX 안에는 Eα=EαE_\alpha=\mathcal{E}_\alpha일 때도 존재)
        • 따라서, M(X)M(Y)\mathcal{M}\left(X\right)\subset\mathcal{M}\left(Y\right)임을 보이면 된다.
        • XYX\subset Y임을 보여주는건.. 불가능하니까 XM(Y)X\subset \mathcal{M}\left(Y\right)임을 보여주는 식으로 가자.
        • 즉 우린, EMα:πα1(E)M(Y)\forall\,E\in\mathcal{M}_\alpha\,:\,\pi_\alpha^{-1}\left(E\right)\in\mathcal{M}\left(Y\right) 임을 증명하는 것이 목표
        • M(Eα)\mathcal{M}\left(\mathcal{E}_\alpha\right)는 "Eα\mathcal{E}_\alpha가 포함된 가장 작은 σ\sigma-algebra"이므로, 동일하게 Eα\mathcal{E}_\alpha가 포함되어 있는 σ\sigma-algebra를 가져오면 이는 M(Eα)\mathcal{M}\left(\mathcal{E}_\alpha\right)를 subset으로 들고 있다.
        • 근데 증명하는 것에 πα\pi_\alpha에 대한 함수가 있으니.. 이를 근간으로 구성을 해보자.
        • 이 때, πα\pi_\alpha는 mapping임을 유의한다.
          • 이는 TXαT\subset X_\alpha에 대해서 πα1(T)\pi_\alpha^{-1}\left(T\right)도 well-defined를 의미한다.
        • 그러니까 우리는 πα1(X)M(Y)\pi_\alpha^{-1}\left(X\right)\in\mathcal{M}\left(Y\right)를 만족하는 모든 집합 XX를 모아보자!
          • 우리는 σ\sigma-algebra의 성질이 필요하고, 그러기 위해선 Eα\mathcal{E}_\alpha가 원소로 필요
            • 이를 위해 set을 구성할 때 단순히 들고 오는 것이 아니라 collection으로 가져오자.
            • 즉, A1A_1이 성립한다면 A1A_1이 아닌 {A1}\left\{A_1\right\}으로 들고 오는 것이다.
          • 즉, collection F:={EαXα:πα1(Eα)M(Y)}F:=\left\{E_\alpha\bold{\subset X_\alpha}\,:\,\pi_\alpha^{-1}\left(E_\alpha\right)\in\mathcal{M}\left(Y\right)\right\}로 정의하자.
          • 이 때, EαE_\alphaXαX_\alphasubset임을 유의한다.
          • mapping ff에 대해, f(AB)=f(A)f(B)f\left(A\cup B\right)=f\left(A\right)\cup f\left(B\right) 가 성립함은 자명하다.
          • 따라서 S, TXαS,~T\in X_\alpha에 대해 πα1(S), πα1(T)M(Y)\pi_\alpha^{-1}\left(S\right),~\pi_\alpha^{-1}\left(T\right)\in\mathcal{M}\left(Y\right) 이면 {S}, {T}\left\{S\right\},~\left\{T\right\} 에 대해서도 성립하고, σ\sigma-algebra의 성질에 의해

            {S}{T}={S, T}\left\{S\right\}\cup\left\{T\right\}=\left\{S,~T\right\}도 collection에 들어가있음을 의미한다.\quad\cdots

          • 우리는 이가 σ\sigma-algebra임을 증명할 것이다.
            1. SFS\in F 라 하자. 이 때, mapping은 complement 연산에 대해 commutative하고 M(Y)\mathcal{M}\left(Y\right)σ\sigma-algebra임을 이용하면 ScFS^c\in F임을 쉽게 보일 수 있다.
            1. union한 것도 동일하게 들어감을 증명하자.
              • A1FA_1\in F, A2FA_2\in F 라 하자.
              • 이 때, ①을 (유사하게)활용하면 A1A2FA_1\cup A_2\in F임을 알 수 있다.
              • 즉, A1, A2, ,A_1,~A_2,~\cdots,에 대해 1AiF\cup_{1}^\infty\,A_i\in F 임을 알 수 있다. (σ\sigma-algebra 성질)
            1. Eα\mathcal{E}_\alpha가 subset들의 set이므로, xEαx\in\mathcal{E}_\alpha에 대해 {x}F\left\{x\right\}\in F가 성립한다.

              즉, Eα\mathcal{E}_\alpha의 존재성은 under union의 closed 여부와 직결된다.

              2에 의해 성립함이 밝혀졌으므로 Eα\mathcal{E}_\alphaFF의 원소

        • 놀랍게도 FFσ\sigma-algebra이고, 그것도 Eα\mathcal{E}_\alpha가 들어가있다!
        • 따라서, MαF\mathcal{M}_\alpha\subset F 임을 알 수 있다.
        • 이를 활용하면, xMα : πα1(x)M(Y)\forall\,x\in\mathcal{M}_\alpha\ :\ \pi_\alpha^{-1}\left(x\right)\in\mathcal{M}\left(Y\right)이다.
        • 그러므로, XM(Y)X\subset \mathcal{M}\left(Y\right) 이고, Lemma에 의해 M(X)M(Y)\mathcal{M}\left(X\right)\sub\mathcal{M}\left(Y\right)
    • Prop 1.5
      • X1X_1, X2, , XnX_2,~\cdots,~X_n이 metric space라 하고, X:=1nXjX:=\prod_1^n X_j를 product metric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1nBXjBX\bigotimes_1^n\,\mathcal{B}_{X_j}\subset\mathcal{B}_X이 성립한다.
      • 또한, 1in1\leq i\leq n에 대해 XiX_i가 dense하면, 1nBXj=BX\bigotimes_1^n\mathcal{B}_{X_j}=\mathcal{B}_X
      • Proof
        • 두 번째 줄 부터 증명하도록 하자.
        • Prop 1.4를 활용하자. XiX_i의 모든 open set들의 collection을 UiU_i라 하자.
        • Prop 1.4에 의해, πα1(Uα)\pi_\alpha^{-1}\left(U_\alpha\right)들로 형성되는데, πα1(Uα)\pi_\alpha^{-1}\left(U_\alpha\right)도 open 이므로 이는 BX\mathcal{B}_X 내에 존재
        • Lemma 1.1에 의해 성립.
        • 역을 증명하기 위해, dense, separable의 성질과 한 가지 보조정리를 증명하자.
          • dense : AXA\subset X가 dense  xX:xA  x\Leftrightarrow~\forall\,x\in X\,:\,x\in A~\vee~xAA의 극점
          • 이 때, 극점은 r>0:B(x, r)A\forall\,r>0\,:\,B\left(x,~r\right)\cap A\neq\empty임을 의미한다.
          • separable set XX는 countable, dense한 집합 YXY\subset X가 존재함을 의미한다.
          • R:={B(x, r):xY, rQ+}R:=\left\{B\left(x,~r\right)\,:\,x\in Y,~r\in \mathbb{Q}^+ \right\}라 하자.
          • Lemma ) 임의의 open set FVF\subset V에 대해 RR의 원소들을 활용하여 FF 를 만들 수 있다.
          • Proof
            • N:={x:xRxF}N:=\left\{x\,:\,x\in R\,\wedge\,x\subset F \right\}라 하자.
            • countable의 성질에 의해 xx는 countable, 유리수도 countable하기 때문에 NN의 원소의 개수는 countable하다.
            • (위와 관계는 없지만) N={A1, A2, A3, , }N=\left\{A_1,~A_2,~A_3,~\cdots,~\right\} 라 해도 문제가 없다
            • N=iNAiN'=\cup _{i\in \N}\,A_i라 하자.
            • Ai:AiF\forall\,A_i\,:\,A_i\subset F이므로 NFN'\subset F
            • xFx\in F 라 하자. FF는 open set이므로  r>0:B(x, r)F\exist~r>0\,:\,B\left(x,~r\right)\subset F이다.
            • rr보다는 작거나 같고 유리수인 수를 qq라 하자.
            • dense하므로 B(x, q2)YB\left(x,~\frac{q}{2}\right)\cap Y\neq \empty이다.
            • yB(x, q2)Yy\in B\left(x,~\frac{q}{2}\right)\cap Y에 대해 B(y, q2)B\left(y,~\frac{q}{2}\right)를 구상하자.

              xB(y, q2)x\in B\left(y,~\frac{q}{2}\right)는 자명

            • tB(y, q2)t\in B\left(y,~\frac{q}{2}\right)일 때 d(x, t)d(x, y)+d(y, t)q2+q2=qd\left(x,~t\right)\leq d\left(x,~y\right)+d\left(y,~t\right)\leq\frac{q}{2}+\frac{q}{2}=q
            • 따라서 tB(x, r)t\in B\left(x,~r\right) 이므로 B(y, q2)B(x, r)B\left(y,~\frac{q}{2}\right)\subset B\left(x,~r\right)
            • 이제 FF에서 B(y, q2)B\left(y,~\frac{q}{2}\right)을 제외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자.
            • 그러면 어느순간 다 덮이게 된다. 이 때, 덮는 것들은 모두 NN의 원소들임을 알 수 있다.
            • 즉, FFNN의 원소의 일부들로 만들 수 있으므로 FNF\subset N', F=NF=N'
        • XjX_j에서 dense, countable한 set을 CjC_j, Ej\mathcal{E}_j{B(x, r):xCj, rQ+{0}}\left\{B\left(x,~r\right)\,:\,x\in C_j,~r\in\mathbb{Q}^+\cup\{0\}\right\}의 collection이라 하자.
        • xXx\in X에서 jj번째 좌표가 CjC_j 내에 있는 점들의 집합은 XX의 countable하고 dense한 subset이다.
        • 또한 B(x, r):xX, rQ+B\left(x,~r\right)\,:\,x\in X,~r\in\mathbb{Q}^+은 단순하게 각 좌표의 점들에 대해 동일하게 만든 후 product한 것과 동일하다.
        • 우리는 countable, dense한 set을 찾았고 그에 따라 Ball을 구상하는 방법도 만들어냈으므로, 위의 Lemma를 통해 XX에 있는 모든 open set은 {1nEj:EjEj}\left\{\prod_1^n\,E_j\,:\,E_j\in\mathcal{E}_j\right\}의 원소들로 나타낼 수 있다.
        • 따라서, BX\mathcal{B}_X{1nEj:EjEj}\left\{\prod_1^n\,E_j\,:\,E_j\in\mathcal{E}_j\right\}로 생성된 것들이고, Prop 1.4에 의해 이는 1nBXj\bigotimes_1^n\,\mathcal{B}_{X_j}이다.
    • 아래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XX의 subset들의 collection을 Elementary family라 한다.
      1. E\empty\in\mathcal{E}
      1. E, FEE,~F\in\mathcal{E}  EFE~\Rightarrow~E\,\cap\,F\in\mathcal{E}
      1. EE  n<, {Ai}1n:(ij  AiAj=)1nAi=EcE\in\mathcal{E}~\Rightarrow~\exist n<\infty,~\left\{A_i\right\}_1^n\,:\,\left(i\neq j~\Leftrightarrow~A_i\cap A_j=\emptyset\right)\wedge \bigcup_1^n A_i=E^c
    • (Exercise 3) Let M\mathcal{M} be an infinite σ\sigma-algebra
      1. M\mathcal{M} contains an infinite sequence of disjoint sets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Hausdorff Maximal Principle
            • (P, )\left(P,~\leq\right)가 Partially order set이면, (P, )\left(P,~\leq\right)는 maximal chain을 가진다.
            • 이 때, Maximal chain은 (P, )\left(P,~\leq\right)에 있는 모든 chain의 set을 C\mathfrak{C}라 할 때, (C, )\left(\mathfrak{C},~\subseteq\right)에 대한 maximal element를 의미한다. 즉, 자신을 proper subset으로 가지는 Total order set이 없다는 의미
          • M\mathcal{M}이 union에 대해 closed이므로, M\mathcal{M}이 Relation \subseteq에 대해 Partially order set임은 자명하다.
          • 따라서 Hausdorff Maximal Principle에 의해 Maximal chain {Ei}1M\left\{E_i\right\}_1^\infty\sub\mathcal{M} 이 존재한다.
          • 귀류를 이용하여 저런 infinite sequence가 없다고 하면, Maximal chain은 무한하지 않고 유한할 것이다. 즉, A={1, 2, , n}A=\left\{1,~2,~\cdots,~n\right\}에 대해 {Ei}αA\left\{E_i\right\}_{\alpha\in A}이고 적절하게 배열하면 E1E2EnE_1\subset E_2\subset\cdots\subset E_n이다.
          • 따라서 E:=M({E1, E2, , En})\mathcal{E}:=\mathcal{M}\left(\left\{E_1,~E_2,~\cdots,~E_n\right\}\right)은 finite하고 EMEE\in\mathcal{M}-\mathcal{E}가 존재한다.
          • 이 때, EEnE\nsubseteq E_n이면 chain에 EnEE_n\cup E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maximal 위반
          • 따라서, EEnE\subseteq E_n이다. 즉, EnE=EE_n\cap E=E이고, 우리가 활용하는 disjoint set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자.
          • E=EEn=E(E12n(EiEi1))E=E\cap E_n=E\cap\left(E_1\bigcup_2^n \left(E_i-E_{i-1}\right)\right)
          • EEE\notin\mathcal{E}이므로 EE1EE\cap E_1\notin \mathcal{E}이거나 E(2n(EiEi1))EE\cap\left(\bigcup_2^n \left(E_i-E_{i-1}\right)\right)\notin \mathcal{E}
          • 앞의 경우부터 살펴보자. 만약 전자가 성립한다면 EE1E1E\cap E_1\subsetneq E_1이므로 maximal chain에 또 위배 ⇒ 이는 모순
          • 후자가 성립한다 하자. 즉, j2j\geq2에 대해 E=Ej1(E(EjEj1))E'=E_{j-1}\cup\left(E\cap\left(E_j-E_{j-1}\right)\right)이라 하면, Ej1EEjE_{j-1}\subset E'\subset E_j가 성립한다.
          • 이 때, E=Ej1E'=E_{j-1}이라 하면 (E(EjEj1))=\left(E\cap\left(E_j-E_{j-1}\right)\right)=\emptyset이고, jj는 후자가 성립하는, 즉 E\mathcal{E}에 속하지 않아야 하는데 E\emptyset\in\mathcal{E}이므로 모순이다.
          • E=EjE'=E_j라 하면 σ\sigma-algebra의 성질에 의해 EjEj1EE_j-E_{j-1}\in\mathcal{E}임과 E(EjEj1)=EjEj1E\cap\left(E_j-E_{j-1}\right)=E_j-E_{j-1}이 성립해야함을 감안하면 모순이다.
          • 따라서 Ej1EEjE_{j-1}\subset E'\subset E_j이고, 이는 maximal chain에 모순
      1. card(M)c\mathrm{card}\left(\mathcal{M}\right)\geq\mathfrak{c}
        • Proof


Uploaded by N2T

'Mathe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MA Ch.5 Selected exercise  (2) 2022.09.25
PMA Ch.6 Def / Throem 공부용  (0) 2022.09.22
Friedberg Linear Algebra Ch5. Def / Theorem 공부용  (0) 2022.09.17
PMA Ch.5 Def / Throem 공부용  (0) 2022.09.16
Linear Algebra Studying View  (0) 2022.07.16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공지사항
Total
Today
Yesterday
최근에 달린 댓글
링크
«   2024/05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