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pter 1, Measure Theory
field
- : collection of subsets of set
- 이 때, 가 field인 것은 이고 가 finite union과 complementation에 closed해 있다와 필요 충분조건이다. 이는 즉,
-
-
- , , ,
-
- 일단, 2번에 의해 각각의 여집합이 에 속하고, 3번에 의해 합집합들도 동일하다. 다시 2번에 의해 이의 교집합들이 에 속함을 증명가능하다
- 3번 조건 같은 경우 finite에 대해 정의가 되어있는데, 이를 확장하여 countable union에 대해 적용하자. (algebra, field 조건)
4. , , ,
- 내에 있는 countable union of sets를 라 하자. 즉, 이다.
- 이 때, 라 하면, 이다. 따라서,
- 따라서, field는 limits of increasing sequence에 닫혀 있다.(의 increasing sequence의 limit가 X에 속하므로, , ,, 이 increasing sequence이고 에 속하면 이의 극한도 동일하게 X에 속함 by 3)
Generated By set
- 모든 집합 에 대해 를 이용하여 가장 작은 -algebra를 정의 하는 것이 가능함. (여기서 가장 작은의 의미는 모든 -algebra가 공통적으로 들고 있는 것을 의미)
⇒ 이를 라 하고,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-algebra이다.
⇒ 보통 generated by 라고 한다.
-
- Lemma 1.1
Proof
- 이 로부터 생성된 "가장 작은" -algebra임을 생각하자.
- 이 때, 도 동일하게 -algebra이고 를 포함하므로, 당연히 이다. 만족하지 않으면 최소라는 조건을 모순하게 된다.
- 모든 open set들을 포함하는 set에 의해 생성된 -algebra를 Borel -algebra라 한다.
- 에 대해, 라 하자.
- 이 때, 를 정의하자. (coordinate map)
- 를 위에 생성된 -algebra라 칭할 때, product -algebra를 아래로 정의하자.
- Prop 1.3
- is countable
Proof
-
-
- Lemma 1.1을 활용한다.
-
- 에 대해 , 에 대해선 로 하면 가 성립
- 이는 의 subset이므로 성립
- Lemma 1.1을 활용한다.
-
- 라 하자.
- 알기 쉽게 나열하면, 이다.
- 이는, 첫 번째에 이 있는 것들과 두 번째에 가 있는 것들과, 의 교집합이다.
- 이 때 첫 번째에 이 있는 것들의 집합은 , 두 번째에 이 있는 것들의 집합은, 로 표현이 가능하다.
-
- 동일하게 Lemma 1.1을 활용하면 성립
- Prop 1.4
- 라 하자.
-
Proof
- 편의를 위해
- 임은 자명하다. (이므로 안에는 일 때도 존재)
- 따라서, 임을 보이면 된다.
- 임을 보여주는건.. 불가능하니까 임을 보여주는 식으로 가자.
- 즉 우린, 임을 증명하는 것이 목표
- 는 "가 포함된 가장 작은 -algebra"이므로, 동일하게 가 포함되어 있는 -algebra를 가져오면 이는 를 subset으로 들고 있다.
- 근데 증명하는 것에 에 대한 함수가 있으니.. 이를 근간으로 구성을 해보자.
- 이 때, 는 mapping임을 유의한다.
- 이는 에 대해서 도 well-defined를 의미한다.
- 그러니까 우리는 를 만족하는 모든 집합 를 모아보자!
- 우리는 -algebra의 성질이 필요하고, 그러기 위해선 가 원소로 필요
- 이를 위해 set을 구성할 때 단순히 들고 오는 것이 아니라 collection으로 가져오자.
- 즉, 이 성립한다면 이 아닌 으로 들고 오는 것이다.
- 즉, collection 로 정의하자.
- 이 때, 가 의 subset임을 유의한다.
- mapping 에 대해, 가 성립함은 자명하다.
- 따라서 에 대해 이면 에 대해서도 성립하고, -algebra의 성질에 의해
도 collection에 들어가있음을 의미한다. ①
우리는 이가 -algebra임을 증명할 것이다.
- 라 하자. 이 때, mapping은 complement 연산에 대해 commutative하고 가 -algebra임을 이용하면 임을 쉽게 보일 수 있다.
- union한 것도 동일하게 들어감을 증명하자.
- , 라 하자.
- 이 때, ①을 (유사하게)활용하면 임을 알 수 있다.
- 즉, 에 대해 임을 알 수 있다. (-algebra 성질)
- 가 subset들의 set이므로, 에 대해 가 성립한다.
즉, 의 존재성은 under union의 closed 여부와 직결된다.
2에 의해 성립함이 밝혀졌으므로 는 의 원소
- 우리는 -algebra의 성질이 필요하고, 그러기 위해선 가 원소로 필요
- 놀랍게도 가 -algebra이고, 그것도 가 들어가있다!
- 따라서, 임을 알 수 있다.
- 이를 활용하면, 이다.
- 그러므로, 이고, Lemma에 의해
- 편의를 위해
- Prop 1.5
- , 이 metric space라 하고, 를 product metric라 하자.
- 이 때, 이 성립한다.
- 또한, 에 대해 가 dense하면,
Proof
- 두 번째 줄 부터 증명하도록 하자.
- Prop 1.4를 활용하자. 의 모든 open set들의 collection을 라 하자.
- Prop 1.4에 의해, 들로 형성되는데, 도 open 이므로 이는 내에 존재
- Lemma 1.1에 의해 성립.
역을 증명하기 위해, dense, separable의 성질과 한 가지 보조정리를 증명하자.
- dense : 가 dense 가 의 극점
- 이 때, 극점은 임을 의미한다.
- separable set 는 countable, dense한 집합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.
- 라 하자.
- Lemma ) 임의의 open set 에 대해 의 원소들을 활용하여 를 만들 수 있다.
Proof
- 라 하자.
- countable의 성질에 의해 는 countable, 유리수도 countable하기 때문에 의 원소의 개수는 countable하다.
- (위와 관계는 없지만) 라 해도 문제가 없다
- 라 하자.
- 이므로
- 라 하자. 는 open set이므로 이다.
- 보다는 작거나 같고 유리수인 수를 라 하자.
- dense하므로 이다.
- 에 대해 를 구상하자.
는 자명
- 일 때
- 따라서 이므로
- 이제 에서 을 제외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자.
- 그러면 어느순간 다 덮이게 된다. 이 때, 덮는 것들은 모두 의 원소들임을 알 수 있다.
- 즉, 는 의 원소의 일부들로 만들 수 있으므로 ,
- 에서 dense, countable한 set을 , 를 의 collection이라 하자.
- 에서 번째 좌표가 내에 있는 점들의 집합은 의 countable하고 dense한 subset이다.
- 또한 은 단순하게 각 좌표의 점들에 대해 동일하게 만든 후 product한 것과 동일하다.
- 우리는 countable, dense한 set을 찾았고 그에 따라 Ball을 구상하는 방법도 만들어냈으므로, 위의 Lemma를 통해 에 있는 모든 open set은 의 원소들로 나타낼 수 있다.
- 따라서, 는 로 생성된 것들이고, Prop 1.4에 의해 이는 이다.
- 아래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의 subset들의 collection을 Elementary family라 한다.
-
-
-
- (Exercise 3) Let be an infinite algebra
- contains an infinite sequence of disjoint sets
Proof
- Hausdorff Maximal Principle
- 가 Partially order set이면, 는 maximal chain을 가진다.
- 이 때, Maximal chain은 에 있는 모든 chain의 set을 라 할 때, 에 대한 maximal element를 의미한다. 즉, 자신을 proper subset으로 가지는 Total order set이 없다는 의미
- 이 union에 대해 closed이므로, 이 Relation 에 대해 Partially order set임은 자명하다.
- 따라서 Hausdorff Maximal Principle에 의해 Maximal chain 이 존재한다.
- 귀류를 이용하여 저런 infinite sequence가 없다고 하면, Maximal chain은 무한하지 않고 유한할 것이다. 즉, 에 대해 이고 적절하게 배열하면 이다.
- 따라서 은 finite하고 가 존재한다.
- 이 때, 이면 chain에 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maximal 위반
- 따라서, 이다. 즉, 이고, 우리가 활용하는 disjoint set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자.
-
- 이므로 이거나
- 앞의 경우부터 살펴보자. 만약 전자가 성립한다면 이므로 maximal chain에 또 위배 ⇒ 이는 모순
- 후자가 성립한다 하자. 즉, 에 대해 이라 하면, 가 성립한다.
- 이 때, 이라 하면 이고, 는 후자가 성립하는, 즉 에 속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므로 모순이다.
- 라 하면 -algebra의 성질에 의해 임과 이 성립해야함을 감안하면 모순이다.
- 따라서 이고, 이는 maximal chain에 모순
- Hausdorff Maximal Principle
-
Proof
- contains an infinite sequence of disjoint sets
- 모든 집합 에 대해 를 이용하여 가장 작은 -algebra를 정의 하는 것이 가능함. (여기서 가장 작은의 의미는 모든 -algebra가 공통적으로 들고 있는 것을 의미)
Uploaded by N2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