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Mathematics

Linear Algebra Studying View

dasu 2022. 7. 16. 06:05

Diagonalizability

  • 03/08
    • Thm 5.5 & Corollary
      • Thm 5.5
        • TTVV의 Linear Operator
        •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TT의 eigenvalues
        • v1, v2, , vkv_1,~v_2,~\cdots,~v_k를 각각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에 대응하는 eigenvectors들이라 하자.
        • 이 때, {v1, v2, , vk}\left\{v_1,~v_2,~\cdots,~v_k\right\}은 Linearly Independent하다.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Idea : 주어진 set이 꼭 basis일 필요가 없다 ⇒ kk가 점점 커짐에 따라 증명을 하면 된다
          • k=1k=1일 땐 증명이 trivial하다? ⇒ Mathematical Induction을 생각해볼만함.
          • k=α1k=\alpha-1일 때 성립한다 하고, 이를 이용하여 k=αk=\alpha 일 때를 증명하자.
          • Independent함을 보이기 위함 ⇒ n=1αanvn=0\displaystyle\sum_{n=1}^{\alpha} a_nv_n=\mathit{0}  의 해가 a1=a2==aα=0a_1=a_2=\cdots=a_\alpha=0임을 보이면 됨.

          • 여기서부터는 생각못한 부분.. 또르륵
          • v1, v2, ,vkv_1,~v_2,~\cdots,v_k가 각각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(eigenvalue)들에 대응하는 eigenvector들이므로, 임의의 i (1iα)i\ \left(1\leq i \leq \alpha\right)에 대해 Tvi=λiviTv_i=\lambda_i v_i가 성립
          • 난 처음에 양변에 TT를 곱하는 생각을 했으나... 그러면, akvka_kv_k항에 대한 처리가 불가능
          • Mathematical Induction을 통해 알고 있는 사항 ⇒ {v1, v2, ,vα1}\left\{v_1,~v_2,~\cdots,v_{\alpha-1}\right\}가 independent
          • 따라서, n=1α1anvn=0\displaystyle\sum_{n=1}^{\alpha-1} a_nv_n=\mathit{0} 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a1=a2==aα1=0a_1=a_2=\cdots=a_{\alpha-1}=0
          • 아~ 그러면 aαvαa_\alpha v_\alpha 항을 없애면 되겠구나~ 어떻게 없애지...?
          • vαN(TλαI)v_\alpha\in N\left(T-\lambda_\alpha I\right)이므로 vα(TλαI)=0v_{\alpha}\left(T-\lambda_{\alpha}I\right)=0이다.
          • 따라서, 양변에 TλαIT-\lambda_{\alpha}I를 곱하자!
          • 바로 위에 값을 참고하면, n=1α1anvn(λnλα)=0\displaystyle\sum_{n=1}^{\alpha-1}a_nv_n\left(\lambda_n-\lambda_{\alpha}\right)=0
          • Independent성을 생각하고, ij  λiλji\neq j~\Rightarrow~\lambda_i\neq\lambda_j 이므로 λnλα0\lambda_n-\lambda_\alpha\neq0
          • 1i<α1\leq i<\alpha에 대해 ai=0a_i=0
          •  aαvα=0\therefore~a_\alpha v_\alpha=0이고 vα0v_\alpha\neq\mathit{0}이므로 aα=0a_\alpha=0

      • Corollary
        • TTndimensionaln-\mathrm{dimensional}의 Linear Opeartor
        • 이 때, T’s eigenvalue=n\left\vert T\text{'s eigenvalue}\right\vert=n일 시, TT는 대각화가 가능하다.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Thm 5.5에 의해 β:={v1, v2, ,vn}\beta:=\left\{v_1,~v_2,~\cdots,v_n\right\}은 independent
          • Replacement Theorem에 의해 β\beta는 basis of TT
          • 따라서, [T]β=D\left[T\right]_{\beta}=D ⇒ Q.E.D
    • Splits over
      • f(t)P(F)f\left(t\right)\in \mathsf{P}\left(F\right) 라 하자
      • 이 때, c, a1, a2, , anFc,~a_1,~a_2,~\cdots,~a_n\in F에 대해 f(t)=c(ta1)(ta2)(tan)f\left(t\right)=c\left(t-a_1\right)\left(t-a_2\right)\cdots\left(t-a_n\right)로 나타낼 수 있으면, f(t)f\left(t\right)splits over라 한다.
      • 이 때, a1, a2, , ana_1,~a_2,~\cdots,~a_n은 꼭 다를 필요가 없다!
    • Thm 5.6
      • 대각화 가능한 특성 다항식은 splits하다.
      • Proof
        • 일단, 대각화가 가능하므로 Linear Operator TT에 대해 기저 β\beta, 대각화 행렬 DD가 존재하여 [T]β=D\left[T\right]_\beta=D
        • 따라서, det(TtIV)=det([TtIV]β)=det(DtI)\det\left(T-t I_V \right)=\det\left(\left[T-tI_V\right]_\beta\right)=\det\left(D-tI\right)
        •  det(DtI)=(1)n(tλ1)(tλ2)(tλn)  \therefore~\det\left(D-tI\right)=\left(-1\right)^n\left(t-\lambda_1\right)\left(t-\lambda_2\right)\cdots\left(t-\lambda_n\right)~~\square
    • Algebraic multiplicity
      • 특성 다항식 f(t)f(t)를 가지는 Linear Operator TT에 대해 λ\lambdaTT의 eigenvalue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f(t)=(tλ)kg(t)f\left(t\right)=\left(t-\lambda\right)^kg\left(t\right)로 표현이 가능할텐데, kkλ\lambda의 Algebraic multiplicity(대수적 중복도)라 한다.
    • Eigenspace
      • TT를 Linear Operator이라 하고, λ\lambdaTT의 eigenvalue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Eλ:={xV  Tx=λx}E_\lambda:=\left\{x\in \mathsf{V} ~\vert~Tx=\lambda x\right\}를 Eigenvalue λ\lambda에 대한 TT의 Eigenspace라 정의한다.
      • 만약 Linear Operator가 아닌 Matrix라면?
      • Matrix AA에 대해 Eigenspace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LAL_A의 Eigenspace를 이용하면 된다.

  • 03/10 & 03/12
    • Thm 5.7
      • T\mathsf{T}를 Vector space V\mathsf{V} 위의 Linear Operator이라 하고, λ\lambdaT\mathsf{T}의 eigenvalue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λ\lambda의 Algebraic multiplicity가 mm이라 하자.
      • 그러면, 1dim(Eλ)m1\leq\dim\left(\mathsf{E}_\lambda\right)\leq m가 성립한다.
      • Proof
        • 우리의 목표는 dim(Eλ)\dim\left(\mathsf{E}_\lambda\right)에 대한 부등식이 성립함을 구하는 것
        • 일단 전개하자!
        • Eλ\mathsf{E}_\lambda의 기저 β={v1, v2, , vk}\beta=\left\{v_1,~v_2,~\cdots,~v_k\right\}라 하자.
        • V\mathsf{V}의 dimension을 nn이라 하고, β\betaEλ\mathsf{E}_\lambdaV\mathsf{V}의 기저로 확장하자.
        • β={v1, v2, , vk, vk+1, vk+2, , vn}\beta'=\left\{v_1,~v_2,~\cdots,~v_k,~v_{k+1},~v_{k+2},~\cdots,~v_n\right\}으로 하고, 이가 V\mathsf{V}의 기저라 하자.
        • 이 때, [T]β\left[T\right]_{\beta'}에 대해서 생각해보자.
        • (λIkBOC)\begin{pmatrix} {\lambda I_k} & B \\ O & C \end{pmatrix}가 될거고, characteristic polynomial을 구해보자
        • f(t)=det(((λt)IkBOCtInk))f\left(t\right)=\det\left(\begin{pmatrix} {\left( \lambda -t\right )I_k} & B \\ O & C-tI_{n-k} \end{pmatrix}\right)이고, 정리하면..
        • det((λt)Ik)det(CtInk)\det\left(\left(\lambda-t\right)I_k\right)\det\left(C-tI_{n-k}\right)
        • 이 때, det((λt)Ik)=(λt)k\det\left(\left(\lambda-t\right)I_k\right)=\left(\lambda-t\right)^k이므로, λ\lambda에 대한 multiplicty가 적어도 kk
        • 문제 조건에서 λ\lambda에 대한 multiplicity가 mm이라 했으므로 kmk\leq m
    • Lemma & Theorem 5.8
      • Lemma
        • T\mathsf{T}를 Linear Operator이라 하자.
        •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는 distinct한 eigenvalue이다.
        • ik : viEλi\forall i\leq k~:~v_i\in \mathsf{E}_{\lambda_i}라 하자.
        • 이 때, j=1kvj=0\displaystyle\sum_{j=1}^k v_j=0이면,  ik : vi=0\forall~i\leq k~:~v_i=0이다.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Remark) Thm 5.5
            • Eigenvector들은 서로 Independent
            • 따라서, Eigenvector들만 따로 가져왔을 때, 합이 00이 되려면 계수들이 00외 되어야함
            • 이를 이용하자.
          • 귀류를 사용하자.
          • 귀류 :  ik : vi0  j=1kvj=0\displaystyle\exist~i\leq k~:~v_i\neq 0~\wedge~\sum_{j=1}^k v_j=0
          • 반드시 vi0v_i\neq0인 애가 존재하므로 이를 재배열해서 맨 뒤로 빼자.
          • 즉,  m : im  vi=0\exist~m~:~i\leq m~\Leftrightarrow~v_i=\mathit{0} 로 재배열하자.
          • 이 때, i>mi>m에 대해 vi0v_i\neq\mathit{0} 이므로 이들은 누군가의 eigenvector가 되고, 따라서 Thm 5.5가 성립해야한다.
          • 하지만... 계수가 전부 00이 아니므로 이는 contradiction
      • Theorem 5.8
        • T\mathsf{T}를 Linear Operator이라 하자.
        •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는 distinct한 eigenvalue이다.
        • ik : SiEλi\forall i\leq k~:~S_i\subseteq \mathsf{E}_{\lambda_i} (이 때, Eλi\mathsf{E}_{\lambda_i}λi\lambda_i에 대한 Eigenspace이다)
        • 또한, SiS_i는 linearly independent한 finite-dimensional set이다.
        • S=S1S2SkS=S_1\cup S_2\cup\cdots\cup S_k도 동일하게 Independent set이다.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Idea : Independent를 증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더해서 0\mathit{0} 이 되는 계수들이 모두 00이라는 것이다.
          • 결론적으로 모든 원소들을 배열할 필요가 있다
          • 그럼... 해야지! Si={vi1, vi2, , vini}S_i=\left\{v_{i1},~v_{i2},~\cdots,~v_{in_i}\right\}라 하자.
          • Independent를 증명하기 위해, i=1kj=1niaijvij=0\displaystyle\sum_{i=1}^k\sum_{j=1}^{n_i}a_{ij}v_{ij}=\mathit{0} 라 하자.
          • 이 때, Lemma를 사용하기 위해, wi:=j=1niaijvijw_i:=\displaystyle\sum_{j=1}^{n_i}a_{ij}v_{ij}라 하자.
          • Eigenspace의 정의에 따라 wiSiw_i\in S_i이다.
          • Lemma를 사용하면, 모든 wi=0w_i=\mathit{0} 이다.
          • 이 때, SiS_i는 linearly independent하므로, 모든 계수들이 00이어야 한다. \square
    • Thm 5.9
      • Theorem 5.8은 각각의 eigenvector로 independent하게 모았을 경우, 이도 동일하게 independent임을 보여준다.
      • independent에서 확대하면 나올수 있는 결론은 "Basis"
      • 즉, 우리는 T\mathsf{T}가 있는 V\mathsf{V}에 대해 기저임을 보이는 정리를 증명할 것이다.
      • T\mathsf{T}V\mathsf{V}에서 정의된 linear operator이고, T\mathsf{T}가 split하다고 하자.
      • λ1, λ2, , λk\lambda_1,~\lambda_2,~\cdots,~\lambda_k는 distinct한 eigenvalue이다.
      • 이 때,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한다.
        • T\mathsf{T}가 대각화 가능하다  ~\Leftrightarrow~ ik : \forall~i\leq k~:~multiplicity of λi=dim(Eλi)\lambda_i=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
        • T\mathsf{T}가 대각화 가능하고 각 ii 에 대해 Eλi\mathsf{E}_{\lambda_i}의 basis를 βi\beta_i라 하자. 이 때, β=β1β2βk\beta=\beta_1\cup\beta_2\cup\cdots\cup\beta_kV\mathsf{V}의 basis이다.
      • Proof
        • Idea : Independent한 Set에서 basis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set의 cardinality가 이미 basis가 확실한 것의 개수랑 같음을 증명하면 된다. (Replacement Theorem)
        • if and only if이므로 역방향과 정방향 모두 증명해야한다.
        • (\Rightarrow)
          • T\mathsf{T}가 대각화가 가능하므로, 기저 β\beta가 존재하여 [T]β=D\left[\mathsf{T}\right]_\beta=D를 만족한다.
          • Eλi\mathsf{E}_{\lambda_i}에 대해 βi=β  Eλi\beta_i=\beta~\cap~\mathsf{E}_{\lambda_i}로 정의하자.
          • 이 때, 우리가 증명하고싶은 것은 i=1kdim(Eλi)=n\displaystyle\sum_{i=1}^k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=n다.
          • 편의를 위해 각 ii에 대해 dim(Eλi)=di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=d_i, βi\left\vert\beta_i\right\vert=mim_i라 하자.
          • 5.7을 이용하면, i=1kdim(Eλi)n\displaystyle\sum_{i=1}^k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\leq n이다. ( \because~λi\lambda_i의 모든 multiplicity를 합치면 nn이 되기 때문이다)
          • 또한, βiEλi\beta_i\subseteq\mathsf{E}_{\lambda_i}이므로 dim(βi)dim(Eλi)\dim\left(\beta_i\right)\leq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이다.
          • β=β1β2βk\beta=\beta_1\cup\beta_2\cup\cdots\cup\beta_k임을 생각하자.,
          • i=1, 2, , ki=1,~2,~\cdots,~k에 대해 양변 부등식을 다 더하면.... ni=1kdim(Eλi)n\leq\displaystyle\sum_{i=1}^k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이다.
          • 위의 결과랑 종합하면, i=1kdim(Eλi)=n\displaystyle\sum_{i=1}^k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=n이고, 5.7의 결과를 종합하면 dim(Eλi)=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=multiplicity of λi\lambda_i이다. \square
        • (\Leftarrow)
          • 역방향을 증명할 때에는 두 번째도 자연스럽게 증명이 된다.
          • 두 번째 명제에서 만들어진 β\beta를 이용하여 ➀ T\mathsf{T}가 대각화가 가능하고, ➁ 이 때 만들어진 β\betaV\mathsf{V}의 기저이다. 를 증명할 것이다.
          • T\mathsf{T}가 split하기 때문에 T\mathsf{T}의 dimension은 λi\lambda_i의 multiplicity를 합친거와 동일하다.
          • 편의를 위해 각 ii에 대해 dim(Eλi)=di\dim\left(\mathsf{E}_{\lambda_i}\right)=d_i, (multiplicity of λi\lambda_i)=mim_i라 하자.
          • 가정에 의해 i=1kdi=n\displaystyle\sum_{i=1}^kd_i=n이다.
          • 즉, 우리는 ij  βiβj=i\neq j~\Rightarrow~\beta_i\cap\beta_j=\emptyset만 증명하면 되는데, 이는 자명하다. (λiλj\lambda_i\neq\lambda_j이기 때문이다)
          • 따라서, 두 번째 명제처럼 만든 β\beta는 independent하고, cardinality는 nn이다.
          • β\beta는 eigenvector들로 이루어진 vector이고, 따라서 [T]β=D\left[\mathsf{T}\right]_\beta=D이다.
          •  \therefore~T\mathsf{T}는 대각화가 가능하고, β\beta는 기저이다.

  • 03/14 ~ 03/15
    • Sec 5.2 Exercise
    • 내 풀이를 올리고, 답지 풀이와 비교(는 알아서)하는 걸로..
    • 증명 및 T/F만 올림
    • Problem 1
      • (a) 하나의 eigenvalue에 여러 개의 eigenvector가 대응되면 diagonalizable하다. (F)
      • (b) Thm 5.7을 생각해보면 될 듯하다. (F)
      • (c) Eλ\mathsf{E}_\lambda0\mathit{0} 도 존재한다. (F)
      • (d) λ1λ2\lambda_1\neq\lambda_2이면 두 eigenvector가 서로 dependent할 수가 없다. 따라서, Eλ1\mathsf{E}_{\lambda_1}Eλ2\mathsf{E}_{\lambda_2}의 교집합은 0\mathit{0} 을 제외하고 나올 수 없음. (T)
      • (e) ...? 너무 당연하다.. (굳이 증명도 가능하긴함)
      • (f) Characteristic polynomial이 split over하지 않으면 안 됨
      • (g) Diagonalizable하므로 성립
    • 여러 개 풀었음 아무튼..

Adjoint of Linear Operator

  • 04/08
    • Thm 6.8
      • V\mathsf{V}를 유한차원의 내적공간이라 하고, g : V  F\mathsf{g}~:~\mathsf{V}~\rightarrow ~\mathsf{F}을 선형변환이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! yV : g(x)=<x, y>\exist!~y\in\mathsf{V}\ :\ \mathsf{g}\left(x\right)=\left<x,~y\right>
      • Proof
        • 해당 차원이 "유한"해야하고, orthonormal basis에 대해선 서로 다른 것들끼리 내적했을 시 값이 00이 됨을 이용한다.
        • V\mathsf{V}의 orthonormal basis를 β={v1, v2, , vn}\beta=\left\{v_1,~v_2,~\cdots,~v_n\right\} 이라 하자.
        • 이 때, xVx\in\mathsf{V}에 대해 x=k=1nakvkx=\displaystyle\sum_{k=1}^n a_kv_k로 표현이 가능하다.
        • 이 때, 우리는 g(x)\mathsf{g}\left(x\right)의 값은 이미 정해져 있는 값이고, 우리가 찾고자하는 건 yy의 값임을 알고 있어야 한다.
        • g\mathsf{g}가 선형변환이므로 g(x)=k=1nakg(vk)\mathsf{g}\left(x\right)=\displaystyle\sum_{k=1}^n a_k\mathsf{g}\left(v_k\right)로 적을 수 있다.
        • 이 때, akg(vk)=akg(vk)×vk2a_k\mathsf{g}\left(v_k\right)=a_k\mathsf{g}\left(v_k\right)\times\left\Vert{v_k}\right\Vert^2으로 표현이 가능하다.
        • 또한, yy가 뒷쪽에 있으므로 켤레를 씌운 것을 생각해보면...
        • y=k=1ng(vk)vk\displaystyle y=\sum_{k=1}^n \overline{\mathsf{g}\left(v_k\right)}v_k로 작성하면,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냄을 알 수 있다!
        • 존재성은 증명했으므로, 유일성에 대해 증명하자.
        • yyyy'이 존재하여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하자.
        • <x, y>=<x, y>\left<x,~y\right>=\left<x,~y'\right>이므로 <x, yy>=0\left<x,~y-y'\right>=0이 성립하고, 따라서 yy=0y-y'=\mathit{0} 임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y=yy=y'이고, 유일하다.

    • Thm 6.9
      • V\mathsf{V}를 유한차원의 내적공간이라하고, T\mathsf{T}V\mathsf{V} 위의 linear operator이라 하자.
      • 이 때, ! T : V  V\exist!~\mathsf{T}^*\ :\ \mathsf{V}~\rightarrow~\mathsf{V} such that <T(x), y>=<x, T(y)>\left<\mathsf{T}\left(x\right),~y\right>=\left<x,~\mathsf{T}^*\left(y\right)\right>
      • 또한, T\mathsf{T}^*는 선형이다.
      • Proof
        • yy가 모든 벡터에 대해 성립하므로, 임의의 yy에 대해 h(x):=<T(x), y>\mathsf{h}\left(x\right):=\left<\mathsf{T}\left(x\right),~y\right>
        • 이 때, h\mathsf{h}가 linear하다 (증명 skip)
        • 따라서 Thm 6.8에 의해 ! yV : h(x)=<x, y>\exist!~y'\in\mathsf{V}~:~\mathsf{h}\left(x\right)=\left<x,~y'\right>
        • yy'yy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되는 요소이므로, 이를 하나의 함수로 정의하자.
        • 즉, y=T(y)y'=\mathsf{T}^*\left(y\right)라 하자.
        • 이를 이용하여 선형성을 증명하자.
        • <x, T(ay1+y2)>=<T(x), ay1+y2>=aˉ<T(x), y1>+<T(x), y2>=aˉ<x, T(y1)>+<x, T(y2)>=<x, aT(y1)+T(y2)>\begin{aligned} \left<x,~\mathsf{T}^*\left(ay_1+y_2\right)\right> & = \left<\mathsf{T}\left(x\right),~ay_1+y_2\right> \\ & = \bar{a}\left<\mathsf{T}\left(x\right),~y_1\right>+\left<\mathsf{T}\left(x\right),~y_2\right> \\ & = \bar{a}\left<x,~\mathsf{T}^*\left(y_1\right)\right>+\left<x,~\mathsf{T}^*\left(y_2\right)\right> \\ & = \left<x,~a\mathsf{T}^*\left(y_1\right)+\mathsf{T}^*\left(y_2\right)\right>\\ \end{aligned}
        • 마지막으로 유일성을 증명하자.
        • 동일하게 U\mathsf{U}가 조건을 만족한다 하자.
        • 따라서 <x, T(y)>=<x, U(y)>\left<x,~\mathsf{T}^*\left(y\right)\right>=\left<x,~\mathsf{U}\left(y\right)\right>이므로 T=U\mathsf{T}^*=\mathsf{U}이다.
      • 우리는 T\mathsf{T}^*T\mathsf{T}의 adjoint operator이라고 부른다.
      • 또한, <x, T(y)>=<T(y), x>=<y, T(x)>=<T(x), y>\left<x,~\mathsf{T}\left(y\right)\right>=\overline{\left<\mathsf{T}\left(y\right),~x\right>}=\overline{\left<y,~\mathsf{T}^*\left(x\right)\right>}=\left<\mathsf{T}^*\left(x\right),~y\right>로 표현가능
      • 추가적으로 <x, T(y)>=<x, T(y)>\left<x,~\mathsf{T}\left(y\right)\right>=\left<x,~\mathsf{T}^{**}\left(y\right)\right>이므로 T=T\mathsf{T}=\mathsf{T}^{**}
    • Thm 6.10 & Corollary
      • Thm 6.10
        • V\mathsf{V}를 유한차원의 내적공간이라하고, T\mathsf{T}V\mathsf{V} 위의 linear operator이라 하자.
        • [T]β=[T]β\left[\mathsf{T}^*\right]_\beta=\left[\mathsf{T}\right]_\beta^*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앞에서, 우리는 [T]β=A\left[\mathsf{T}\right]_\beta=A라 할 때, T(vi)=j=1nAjivj\mathsf{T}\left(v_i\right)=\displaystyle\sum_{j=1}^n A_{ji}v_j임을 증명했다.
          • 이를 이용하자. A=[T]βA=\left[\mathsf{T}^*\right]_\beta, B=[T]βB=\left[\mathsf{T}\right]_\beta^*라 하자.
          • 위의 사실에 의해

            Aij=<T(vj), vi>=<vi, T(vj)>=<T(vi), vj>=Bji=(B)ijA_{ij}=\left<\mathsf{T}^*\left(v_j\right),~v_i\right>=\overline{\left<v_i,~\mathsf{T}^*\left(v_j\right)\right>}=\overline{\left<\mathsf{T}\left(v_i\right),~v_j\right>}=\overline{B_{ji}}=\left(B^*\right)_{ij}

          • 따라서 A=BA=B
      • Corollary
        • AAn×nn\times n짜리 행렬이라 하자. 이 때, LA=(LA)\mathsf{L}_{A^*}=\left(\mathsf{L}_A\right)^*
        • Proof
          • standard basis β\beta에 대해 [LA]β=A\left[\mathsf{L}_A\right]_\beta=A가 성립함을 앞에서 증명했다.
          • 따라서 (LA)=[LA]β=[LA]β=A=[LA]β\left(\mathsf{L}_A\right)^*=\left[\mathsf{L}_A^*\right]_\beta=\left[\mathsf{L}_A\right]_\beta^*=A^*=\left[\mathsf{L}_{A^*}\right]_\beta

Uploaded by N2T

'Mathe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MA Ch.5 Selected exercise  (2) 2022.09.25
PMA Ch.6 Def / Throem 공부용  (0) 2022.09.22
Friedberg Linear Algebra Ch5. Def / Theorem 공부용  (0) 2022.09.17
PMA Ch.5 Def / Throem 공부용  (0) 2022.09.16
Probability Theory  (0) 2022.07.16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공지사항
Total
Today
Yesterday
최근에 달린 댓글
링크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